1. TCP가 연결지향형인 이유
-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파라미터들을 각자 설정하기 위한 어떤 사전 세그먼트들을 보내기 때문
- 그게 바로 3-way handshaking 이다.
- 점대점 연결이 되어 있다보니 송신자는 수신자가 될 수 있고, 수신자도 송신자가 될수 있다.
⇒ 전이증 서비스(full-duplex service)
2. three-way handshaking
- 연결을 초기화하는 프로세스를 클라이언트 프로세스, 반대가 서버 프로세스라 한다.
- three-way handshaking 시에는 페이로드 즉 데이터가 없다.
3. TCP 통신
- MTU(maximun transfer unit) 최대통신 단위
- MSS(maximum segment size) 최대 세그먼트 크기
- TCP 세그먼트 = TCP 헤더 + 클라이언트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