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예전 메모리의 구조는?
- OS와 애플리케이션이 같은 선상에서 돌아가는 구조
- 애플리케이션과 OS가 동등한 권한을 가졌다.
- 애플리케이션이 비정상적으로 종료시 자원을 회수하지 못해 낭비되는 자원이 종종 발생
- 자원 회수를 위해 재부팅이 전부
- 애플리케이션 하나로, 시스템 전체가 좌지우지 되었었다.
✅ 이로 인해 보호 모드(Kernel)가 생성되었고, 이 때부터 User 영역과 Kernel 영역으로 나뉘었다.
⇒ 가상 메모리 탄생 배경
</aside>
1. 가상 메모리의 탄생
- OS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가상 메모리가 탄생
- 위의 보호모드의 탄생으로 OS 위에 Kernel 영역을 두고, 그 위에(User Mode) 애플리케이션을 돌린다.
- OS는 위 애플리케이션들의 사용자원들을 파악하여, 회수하고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