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빈칸1
들을 대상으로 동작한다.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빈칸1
들에게 빈칸2
를 제공한다. 빈칸2
은 애플리케이션 관점에서 보면 빈칸1
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aside>
→ 프로세스, 논리적 통신
<aside> ✨ UDP의 주요 기능 2가지를 설명하라.
</aside>
→ 다중화와 역다중화, 오류검출
<aside> ✨ TCP와 UDP의 주요 차이점 2가지를 설명하라
</aside>
→ TCP는 신뢰적인 연결인데 비해 UDP는 비신뢰적 연결이다.
→ 오류 검출만 하는 UDP와 다르게 TCP는 오류 검출뿐만 아니라 신뢰적인 데이터를 보장한다.
→ 속도
→ 혼잡제어
<aside> ✨ 1) multiplexing과 demultiplexing 각각이 무엇인지 설명하라. 2) 기존에 호스트 대 호스트 통신에 이 개념이 적용된다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