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T에 관한 자료 : https://m.blog.naver.com/stormhjo/221114277731
1. 공공 데이터베이스 및 리포지토리
- Kaggle: Kaggle은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셋을 제공합니다. 심리학적 평가, 감정 분석, 설문 데이터, 치료 효과 등의 데이터셋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sychological Stress", "Personality Traits", "Mental Health"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CI Machine Learning Repository: UCI는 다양한 심리학적 실험 데이터셋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와 관련된 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2. 학술 논문과 연구 결과
- Google Scholar: 심리학적 평가, PST 훈련 효과, 상담 기법 등에 관한 학술 논문을 찾을 수 있습니다. 논문에서 제공하는 실험 데이터나 추가 자료들을 참고하여 연구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 ResearchGate: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 데이터를 공유하는 플랫폼입니다. 특정 연구나 실험에 관련된 데이터나 자료를 요청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3. 심리학 연구 기관 및 대학
- 심리학 연구소 및 대학 기관: 많은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심리학적 실험 및 연구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교의 심리학과에서 진행한 연구에 관한 데이터셋이나 결과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4. 심리학 및 상담 관련 데이터 제공 플랫폼
- PsychData: 심리학 연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심리학적 실험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학술적인 데이터뿐만 아니라 설문조사 데이터도 찾을 수 있습니다.
- Open Science Framework (OSF): 연구자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심리학적 실험 및 PST와 관련된 데이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5. 심리검사 및 상담 관련 상용 플랫폼
- Psychometrics: 심리학적 평가 도구를 제공하는 상용 플랫폼으로, MBTI, Big Five 성격 검사를 포함한 심리검사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일부 데이터는 상용 라이센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Counseling Apps: 상담 앱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심리적 데이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앱에서는 사용자의 상담 세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익명으로 제공하기도 합니다. 예시로는 BetterHelp나 Talkspace 같은 온라인 상담 플랫폼이 있습니다.
6. 자체 데이터 수집
- 심리검사 및 설문 조사 개발: 직접 설문지를 만들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BTI, Big Five, 불안 수준 등을 측정하는 설문을 만들어 사용자의 반응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여러 설문 플랫폼이 이를 지원합니다.
- 대화형 AI 훈련: 대화형 상담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AI 모델에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BT 상담 세션의 대화 기록을 기반으로 상담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상담 패턴과 결과를 분석하는 방식입니다.
7. 심리학 관련 통계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