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Signaled : 객체가 사용 가능하지 못한 상태, 이 상태에서 객체에 접근하려 한다면 mutex 큐에 들어가 준비 → 대기 상태로 넘어가게 된다. 만약 mutex_unlock 되어 mutex가 생기면 Signaled 로 바껴 mutex 큐에서 제일 앞단의 것이 나와져 객체에 접근
signal() → 락을 방출을 뜻하는 걸 알면 구분하기 쉽다.
2) LInux 의 동기화
2.6 부터는 선점형 커널방식을 사용하여, 커널 모드에서 실행 중일 때에도 테스크는 선점될 수 있다.
원자적 정수 기법을 사용하여 하나의 atomic한 변수를 원자적 연산으로 동기화가 가능하다.
→ 하지만 다양한 조건의 경우에는 제약이 크다.
다중 처리기 및 단일 처리기에서의 동기화
다중 처리기 : 스핀락 방식을 사용하여 스핀락을 획득함에 따라 커널 접근
단일 처리기 : 하나의 코어에서 처리하기에 스핀락이 아닌 커널 선점이 가능한 여부에 따라 커널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