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dt 3.0의 핵심적인 성능 문제점은 바로 전송 후 대기(stop-and-wait) 프로토콜이라는 점이다.
- 확인 반응이 오기전까지 해당 프로토콜은 계속 대기만 하는 문제
- 거대한 광대역을 두고도 작은 전송 하나때문에 전송 활용이 현저히 떨어진다.
- 하나의 전송후 확인 응답을 기다리는게 아닌 여러 패킷의 전송을 허락하는 것이 바로 파이프라이닝
- 고려사항
- 순서 번호의 범위가 커져야한다.
- 송수신측은 하나 이상을 버퍼링해야한다.
- 이를 활용한 방법으로 GBN, SR이 있다. (오류 회복 차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