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빈칸1 은 통신 링크와 패킷 스위치의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인터넷에서 빈칸1 은 데스크톱, 서버, 이동 컴퓨터(랩톱, 태블릿, 스마트폰) 등이 있으며, 빈칸1 은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웹 서버 프로그램, 전자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전자메일 서버 프로그램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 종단 시스템 (End System)

문제 2

패킷 교환기는 입력 통신 링크의 하나로 도착하는 패킷을 받아서 출력 통신 링크의 하나로 그 패킷을 전달한다. 오늘날의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패킷 스위치는 빈칸1 , 빈칸2 가 있다. 두 형태의 스위치는 최종 목적지 방향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패킷 교환기는 종단 시스템과 비슷하지만 프로토콜 스택의 모든 계층을 구현하지 않는다. 빈칸1 은 1,2 계층을 구현하고 보통 접속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지만, 빈칸2 는 1~3 계층을 구현하고 네트워크 코어에서 사용된다.

→ Router, Link-Layer-Switch

문제 3

하나의 종단 시스템에서 다른 하나의 종단 시스템으로 비트 전송 시, 물리매체 상에 전기 신호를 전파하여 비트를 전송시킨다. 다양한 물리매체들이 존재하는데, 빈칸1 은 가장 싸고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전송 매체이다. 이 선은 2개의 절연 구리선이고 각각은 약 1mm의 굵기로 규칙적인 나선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쌍들 간에 전기 간섭을 줄이기 위해 선들이 꼬여있다. 빈칸2빈칸1 처럼 2개의 구리선으로 되어 있으나 두 구리선이 평행하지 않고 동심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와 특수 절연 및 차폐를 가진 빈칸2빈칸1 보다 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얻을 수 있다.

→ 꼬임쌍선, 동축케이블

문제 4

기업에서는 LAN을 접속 네트워크로 사용한다. 여러 유형의 LAN 기술 중, 이더넷이 기업, 대학, 홈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접속 기술이다. 이더넷은 이더넷 스위치에 연결하기 꼬임쌍선을 이용한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사람들은 인터넷을 랩톱, 스마트폰, 태블릿 그리고 다른 ‘사물’에서 빈칸1 으로 접속하고 있다.

→ 무선

문제 5

라우터는 접속된 통신 링크 중 하나로 도착하는 패킷을 받아서 접속된 통신 링크 중 다른 링크로 그 패킷을 전달한다. 이때, 라우터는 목적지 주소를 라우터의 출력 링크로 매핑하는 빈칸1 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빈칸1빈칸2에 따라서 자동으로 설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