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상황이 생기는데 어떠한 상황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게 되는지 2가지 쓰시오. → 손실이 발생했을 때, 손상이 발생했을 때 (타임 아웃, 중복 아크 받았을 시)
TCP는 송신자가 수신자의 버퍼를 오버플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에게 빈칸1
를 제공한다. 빈칸1은 송신 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이다.
→ rwnd 흐름 윈도
→ 흐름제어 서비스
TCP 연결이 어떻게 설정되고 해제되는지에 관해서 그려보시오.(TCP SYN 필드를 포함하여 그리시오. ※ 힌트 SYN, seq, ack, client_isn[최초의 순서 번호] = 90 , server_isn = 102 이라고 가정, FIN 비트) →
데이터의 양이 라우터가 처리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하면 라우터는 더 이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송신 측은 라우터에서 처리하지 못한 데이터를 손실 데이터로 간주하고 계속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됩니다. 이는 네트워크를 혼잡하게 만듭니다. 빈칸1은 이런 네트워크의 혼잡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 cwnd 혼잡 윈도 → 혼잡 제어 서비스
문제 2번 정답과 문제 4번 정답은 TCP 통신에 있어 송신자의 전송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 오류를 줄이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럼 이 두 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 Reno를 사용한다면 송신율을 좀 더 많이 줄여서 네트워크상의 혼잡도를 좀 더 빠르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회복이 보일 때 조금씩 전송률을 올리는 Tahoe와 다르게 Reno 같은 경우 다시금 느린 전송으로 전환하여 전송률을 보다 맞게 빠르게 올릴 수 있다. ⇒ 이는 광대역 활용률로도 이어진다.
TCP [문제 4번 정답] 알고리즘은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갖는다. 다음 세 가지 구성 요소를 쓰세요. → 슬로 스타트, 혼잡 회피, 빠른 회복
TCP는 GBN인가 SR인가? 무엇인지 쓰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 지 쓰시오. → GBN 과 SR의 혼합이다 → 헤드에 타이머가 실리는데 오버플로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로 사용하는 점과 하나의 윈도가 다 처리가 될 때까지 재전송을 보내는 점은 GBN과 같으나 재전송 시 해당 버퍼의 데이터들을 모두 보내는 것이 아닌 처리가 안 된 데이터들만 보내는 점은 SR 과 비슷하다.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트랜스포트 서비스가 UDP 또는 TCP 서비스 모델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 설계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항상 ‘자신의 프로토콜을 확장’할 수 있다. 이것은 빈칸1에서 취한 접근 방식이다. 빈칸1은 보안 HTTP를 위한 트랜스포트 계층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처음부터 새롭게 설계된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빈칸 1은?? → QUIC
빈칸1은 네트워크 장치에 IP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빈칸1은 일반적으로 새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기존 장치의 IP주소를 변경할 때 사용됩니다. → DHCP
빈칸1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패킷의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한 마디로 Network Address인 IP를 변환하겠다는 뜻이다. 이는 무엇일까용? → NAT
네트워크 계층 주소(예: 인터넷 IP 주소)와 링크 계층 주소(즉, MAC 주소)가 있으므로 이들 주소 사이에 변환이 필요하다. 이것을 인터넷에서는 빈칸1이 해준다. → ARP
서브넷 1은 111.111.111/24를 가지고 서브넷 2는 222.222.222/24를 갖는다. 호스트 111.111.111.111이 호스트 222.222.222.222로 IP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려고 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지 그리시오.
→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