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네트워크에서만 의미가 있는 IP 주소를 외부의 네트워크가 알 수 있게 바꿔주는 기능
-
보통 라우터에 이 기능이 있다
-
보통 하나의 서브넷은 네트워크상에서 하나의 IP주소, 하나의 기기처럼 보인다.
-
이 NAT 기능을 하는 라우터의 서브넷 내의 주소도 DHCP로 인해 자동할당 된다.
-
NAT 변환 테이블에 출발지포트 목적지포트를 저장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 홈 네트워크 내의 1번 호스트 (ip 주소가 10.0.0.1)가 외부 서버에서 웹 페이지 요청
- 출발지 포트번호 3345로 설정 후 전송
- NAT기능 수행 라우터에서 5001이라는 포트번호를 할당하고 출발지 포트를 5001로 변경후 전송
- 서버에서는 목적지포트를 5001로 설정하고 응답 수행
- 라우터가 해당 응답을 받고, 목적지포트를 3345로 설정하여 1번 호스트로 응답을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