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이 쉽게 인터넷 호스트를 식별할 수 있게하는 ‘호스트 이름’ 을 ‘도메인’이라 한다.
- 하지만 호스트 이름은 알파뉴메릭문자(영숫자)로 이루어져 있어 라우터가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라우터는 고정 길이의 계층형 구조를 가진 IP 주소를 좋아한다.
- 위의 이러한 두 선호 차이를 극복하기위한 것이 바로 DNS이다.
1. DNS
- DNS 서버들의 계층구조로 구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이다
- 호스트가 분산 데이터베이스로 질의하도록 허락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다.
- DNS 서버는 주로 BIND(Berkeley Internet Name Domain)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유닉스 컴퓨터다.
- UDP 상에서 수행되고, 포트 번호 53번을 가진다.
- 이렇게 DNS거처 IP 주소를 얻다보니 추가 지연이 생긴다 ⇒ LDNS로 어느정도 극복가능
2. DNS 의 추가 서비스 기능
3. DNS 동작원리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