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양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나온 문제점들
- 라우터의 한정된 전송률 → 주어진 전송률이 최대다
- 라우터에 과도하게 몰릴경우 패킷이 자꾸 버려지고, 불필요한 재전송으로 지연이 길어진다.
- 몰림으로 과도한 재전송을 하여 복사본을 많이 받으면 처음에만 받고 나머지는 다 버리는 낭비가 발생
- 두 개 이상의 라우터를 거칠경우 하나의 라우터에 전송이 몰리면, 하나의 라우터에서 처리한 데이터가 버려지는 경우가 발생 → 송신측에서 라우터의 처리까지의 낭비가 발생
2. 혼잡 제어의 접근법
- 종단간 혼잡제어
- 네트워크 계층에서 트랜스포트 계층에 지원해주는게 없음
- 타임아웃이나 삼 중복 패킷전달같은 세그먼트 손실로 네트워크의 혼잡도를 판단
- TCP는 이에 맞게 윈도 크기를 줄인다.
- 네트워크 지원 혼잡 제어
- 라우터들이 송수신자들에게 직접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
- 피드백은 링크의 혼잡을 나타내는 하나의 비트처럼 간단하다.
- ATM ABR 이 대표적, 원래는 위에서 보다시피 종단간 접근 방식을 택했으나 최근에 들어서
IP와 TCP가 네트워크의 혼잡제어를 선택적으로 구현가능하다.
3. TCP 혼잡제어 알고리즘
4. 네트워크 지원 명시적 혼잡 알림과 알림 지연 기반 혼잡 제어
5. 공평성
6. QU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