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CP에 보안적인 요소를 추가한 전송 방식은 무엇이고 왜 보안적인 요소를 고려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쓰시오
- TLS -> 기존 TCP같은 경우 연결 지향셩 서비스로 신뢰성 있는 전송을 제공하긴 하지만,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 종단 인증 같은 보안 관련 서비스는 없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딴에서 설정하여 보안적 요소를 고려한다.
- 클라이언트-서버 방식과 P2P 방식의 차이점, 각 사용처와 왜 사용처 별로 해당 방식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쓰시오.
-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의 경우 클라이언트간의 직접적인 통신 없이 무조건 서버를 거처 통신하여, 서버의 주소가 고정되어 있어, 항상 동작하고 있어야 한다.
p2p 방식의 경우 최소한의 인프라스트럭쳐에 의존(아예 의존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하고, 클라이언트끼리의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다는 차이가 있다.
-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의 경우 대표적인 예로 웹 페이지를 들 수 있다. 이 웹 페이지는 누구든 언제나 접근이 가능해야 하고, 항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서 프로세스가 시작하기에 해당 방식을 사용한다.
p2p 방식의 경우 대표적인 예로 p2p 파일 전송 시스템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웹페이지는 필요한 사용자끼리 가지고 있는 파일을 교환하기 때문에 굳이 서버 없이 클라이언트끼리만 통신하기에 이 방식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