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현재 제일 많이 쓰인다.
한 번의 TCP 로 지속적인 연결이 목표이다. ⇒ 이로인해 서버의 소켓 수를 줄여 공정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가진다.
하나의 TCP 연결로 보내다 보니 HOL(Head Of Line) Bloking 문제 발생, 앞에 큰 크기의 객체를 보내면 뒤의 작은 객체들이 계속 기다리는 현상 ⇒ 해결책으로 여러개의 병렬 TCP를 열어서 해당 문제를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