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
외부 단편화와 내부 단편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페이징 기법에서 외부 단편화, 내부 단편화는 발생하는가?
- 외부 단편화란 잘게 쪼개진 메모리로 인해 요구되는 연속적 메모리를 쓰지 못하는 경우, 내부 단편화 같은 경우에는 필요한 메모리보다 더 큰 메모리를 할당시켜 노는 메모리가 생기는 것을 내부 단편화라 한다.
- 페이징 기법에서 외부 단편화는 일어나지 않지만, 내부 단편화는 일어날 수 있다.
→ 논리주소랑 물리주소를 분리해서 생각한 방식, 논리를 물리에 매핑한 방식, 물리 주소가 굳이 연속되지 않아도 상관 x, 외부 단편화의 경우는 연속된 크기의 데이터를 페이징 방식으로 매핑해주기에 일어나지 않는다.
문제2.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에 대해 설명하시오.
- 최초 적합: 파티션의 설정된 순서대로 가용가능한 크기를 배치하는 것
- 최적 적합: 찾는 순서로 리스트 중 가용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의 파티션을 배치하는 것, 없다면 리스트를 전부 찾음
- 최악 적합: 찾는 순서로 리스트 중 가장 큰 용량의 파티션을 순서대로 이용하는 것
문제3.
- ASIDs에 대해 설명하시오.
- TLB에 어떤 프로세스인지를 나타내기위해 적는 것
- context switching이 발생할 때 TLB가 초기화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 다음 실행 프로세스가 잘못 변환하지 않도록 하기위해서
→ 논리적으로는 같으나 물리적으로 다를 수가 있어서, 초기화하지 않게되면 엉킬 수 있어서 반드시 초기화 시켜주어야하다.
- 이를 위해 ASIDs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 ASIDs에 프로세스별 주소들을 여러개 등록하여 동시에 저장할 수 있어서 초기화를 하지 않아도 된다.
- TLB란 무엇인가
- translate look-aside buffer로 key와 value로 이루어져있으며, 빠르게 메모리에 접근하여 페이지 정보를 가져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