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s
Dockerfile
Container
- docker run : 도커의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명령어이다.(pull→create→ start )
- -d : 컨테이너를 터미널에서 분리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그래서 터미널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해진다.
- —rm : 컨테이너가 실행을 마치면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명령어
- -v : 볼륨을 선택(마운트)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 ex
v test-volume:/_data
v
: 볼륨(volume)을 컨테이너에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test-volume:/_data
:
test-volume
: 호스트(로컬)의 Docker 볼륨 이름입니다.
/_data
: 컨테이너 내부에서 볼륨을 연결할 디렉토리입니다.
- 의미:
test-volume
이라는 이름의 볼륨을 컨테이너 내부의 /_data
디렉토리와 연결합니다.
- 이렇게 하면 컨테이너 내에서 생성한 파일이 볼륨에 저장되어 컨테이너 종료 후에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 sh : 쉘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 sh -c : 쉘에서 받은 문자열 명령어를 실행하기위한 명령어
- -f : docker 관리를 위한 옵션
- ls -f dangling=true : 현재 사용중이지 않는 volume을 조회해준다.
- -q : 도커 볼륨의 이름만을 출력한다.
- -p : 포트의 연결을 도와주는 옵션
- ex
- -p 8080:80 : 호스트의 8080포트로 들어온 요청을 컨테이너의 80포트로 보내야한다는 뜻이다.
- -i : 컨테이너와의 연결을 유지하면서 입력을 받을 수 있게해주는 옵션
- -t : 가상 터미널을 활성화 해주는 옵션이다.
- -it : -i + -t 를 합친 것으로 명령어를 입력받아 가상터미널을 통해 출력을 보기좋게해준다.
- exec : 실행중인 컨테이너에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