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CPU가 메인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해당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CPU가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메인 메모리에 지속적으로 접근되는 경우, 이러한 상황은 용납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쓰시오

</aside>

<aside> 💡 각 프로세스가 독립된 메모리 공간을 갖도록 하드웨어 딴에서 미리 합법적인 메모리 주소 영역을 설정하는 데 이때 쓰이는 두 개의 레지스터들을 쓰고 각 역할을 쓰시오

</aside>

<aside> 💡

빈칸1 은 논리 주소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고 각 단계는 서로 다른 페이지 테이블 수준을 나타낸다. 주소가 32비트 이상으로 확장됨에 따라 계층 레벨 수가 커질 수 있다. 빈칸1 에 들어갈 말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두 가지를 쓰시오

</aside>

<aside> 💡 메모리 할당 기법 중에는 가변 파티션 기법이 있다. 가변 파티션 기법에 쓰이는 동적 메모리 할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 가지의 방법이 있다.(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아래의 질문에 답하시오

</aside>

  1. 300, 500, 250, 700 의 순서대로 있는 파티션 공간을 고려하여 , 120, 600, 260, 300 크기의 프로세스를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에 맞게 알고리즘 사용을 열거하시오
  1. 세 가지 방법들 중 메모리 이용률과 속도측면에서 가장 떨어지는 것, 그리고 일반적으로 가장 효율이 좋은 것을 쓰시오

태형이형

창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