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DP의 기본적인 역할 ⇒ 비연결형 트랜스포트라 불리는 이유
- 다중화와 역다중화
- 체크섬을 이용한 오류 검출
- 사전 연결없이 진행 (TCP의 3-way-handshake 같이)
- DNS도 이 프로토콜을 사용, 만약 DNS로 던진 질의가 돌아오지 않는다면 (네트워크에서 분실한다),
질의를 다른 네임서버로 송신하거나 응답을 수신할 수 없음을 알린다.

2. UDP로 앱을 개발하려는 이유
3. UDP 세그먼트 구조
4. 종단과 종단의 원칙
-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만 다중화 역다중화가 이뤄지고, 오류검사를 제공한다
- 하위계층인 IP(네트워크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에선 어떠한 2계층에서도 동작해야 하기 때문이다.